한국 유저들을 위한 기본 가이드 입니다.한글화가 되어있지 않은 게임인 만큼 게임에 대한 기본 설명과 해설을 포함 하겠습니다.섹션당 글자 수 제한이 있어서 섹션을 잘게 쪼개어 설명을 하겠습니다.
Intro
섹션당 글자 수 입력의 제한으로 인해서
섹션을 잘게 나누어 쓰도록 하겠습니다.
간략히 제 소개
출시 당일부터 구매를 해서 즐기고 있으며(플탐 대략 175시간), Top Manager 챌린지 게임에 도전해서 게임상의 2024년에 달성해서 (2016.12.14기준) 전세계 업적달성율 0.1%에 들어갔습니다. [link]
그동안 얻거나 알게 된 정보를 공유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고,
그동안 방송을 한 영상은 다음 아래주소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게임 소개
MM은 FM시리즈에 리그가 나뉘어 잇는 것처럼 3개의 리그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각 리그는 각기 규정(Rules)이 다르기 때문에 참여하는 리그에 대해서 사전에 꼭 파악을 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시즌 중에는 규정에 대한 정책 투표를 통해 다음 시즌의 규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리그별로 10개의 팀이 시즌(1년)단위로 경쟁을 하며 연말 시즌의 결과를 바탕으로 리그 1위팀은 상위 리그로 승급을 할지 리그 내 잔류할지 결정을 할 수 있고, 반대로 꼴등팀은 하부 리그로 강등 됨니다.
세계 모터스포츠 선수권 대회 (World Motorsport Championship)
리그 설명
Tier1 리그로 제일 높은 수준의 리그입니다. 가장 높은 5억달러 규모의 우승 기금을 가지고 있으며, 한 시즌에 16번의 GP경주를 통해서 승자를 가리게 됩니다.
길어진 경주(트랙평균 약 35바퀴)는 전반적인 팀의 수준과 더불어 경주 전략이 중점이 되어 순위가 결정에 영향을 미침니다.
피트레인 이동속도 60Km/h 제한 (60KPH pitlane Speed Limit)
일반적인 속도의 피트스탑, 다시말해 평균적인 속도로 피트스탑이 가능합니다. 이 규정은 타이어 소모비가 높은 차량에 도움이 됩니다.
피트 스태프 인원제한 없음 (Unlimited Pit Stop Crews)
경주가 있는 주간에는 순회비용이 $15,000로 증가하고, 작업이 일제히 동시에 진행됨으로써 피트-스톱이 더 빠르게 되도록 이끔니다.
높은 메리트의 보상금 (High Merit Payments)
최상위와 최하위 팀의 우승 상금에 많은 격차있게 됨니다. 상위 팀에게 더 많은 보상 비율이 주어짐니다
포인트 상위 10등까지 (Points for Top 10)
포인트는 상위 10등 까지의 드라이버에게 주어짐니다(25, 18, 15, 12, 10, 8, 6, 4 2, 1). 승점이 낮은 팀들은 승점을 얻기 위해 많은 도전을 할 것입니다.
보통 너비의 슬릭 타이어 (Normal Width Slick Tyres)
두번째로 높은 성능의 타이어로, 스릭은 트랙을 매우 빨리 트랙을 돌 수 있게합니다. 성능이 곧 비용이며, 경주당 $25,000 타이어 비용이 발생합니다.
코르테스 타이어 (Cortés Tyres)
코르테스 타이어는 내구성이 최고입니다.
타이어 소재의 자유선택 (Free Choice of Tyre Compounds)
팀은 전략적 선택에 맞게 다양한 타이어 소재를 자유롭게 수량 결정할 수 있습니다.
세가지의 마른 날씨 타이어 소재 (Three Dry Waether Tyre Compounds)
다양한 전략적 옵션에 맞게 3가지의 마른날씨의 타이어 소재를 팀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15개의 건식 타이어 선택 (15 Dry Tyre Choices)
팀은 경주가 있는 주당 타이어 마모율을 고려하지 않고, 15개의 타이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가상과 실제 세이프티카 둘다 사용 (Both Virtual and Real Safety Cars)
본 챔피언쉽은 두가지 형태의 세이프티 카(가상과 실물) 모두 사용합니다. 속도 제한은 두개를 섞은 정도입니다.
재급유 금지 (Refueling Ban)
차량은 경주중 재급유 금지. 재급유를 허용하는 챔피언쉽과 비교해 $20,000가량 비용절감
드라이버 보조장치 금지 (Driver Adis Banned)
드라이버는 테크니컬 향상, 운전기술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선기반의 그리드 (Qualifying-Base Grids)
예선 세션을 통해서 본 경기 그리드가 정해집니다. 다시말해 좋은 차가 경주의 선두에 위치하게 됨니다.
리그 특징
Top10 포인트 제도.
상위 10등까지만 포인트를 부여하고, 포인트의 차이가 심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상위(1~3위)에 랭크하는 것이 드라이버 개인이나 팀포인트 랭크가 상위권에 머무를 수 있는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재급유 금지
2,3부 리그와 달리 가장 큰 변화인 부분입니다. 경주(Race) 중에는 재급유를 할 수 없으므로 연료량 관리가 경주 성적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래서 프리-시즌의 차체 디자인을 할 때 되도록이면 차량의 연료 효율을 높게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드라이버가 리그내 비슷한 동급 능력을 가졌다면 드라이버의 특성(Trait)에 ‘연료 사용량 적음’ 특성이 있는 드라이버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시아-태평양 슈퍼 컵 (Asia-Pacific Super Cup)
리그 설명
Tier2 리그로 중간 수준의 2부 리그입니다. 2억5천만 달러 규모의 우승기금을 가지고 있으며, 한 시즌이 총 11번의 GP경주를 통해서 승자를 가리게 됩니다.
예선시간 10분, 만약 첫 기록이 계획대로 좋지 못하면, 팀과 드라이버에게 적은 변경만 가능할 정도의 시간입니다.
레이스(평균) 31바퀴 [31 Lap Races(on Average)]
평균적인 경주(트랙평균 약 31바퀴)길이는, 혼선이 많은 짧은 길이의 경주와 좋은 질을 보여주는 긴 경주 사이에 균형이 잡힌 길이입니다.
피트레인 이동속도 100Km/h 제한 (100KPH pitlane Speed Limit)
피트-스탑의 속도가 더 빨라질 것이며, 다시말해 피트-스탑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규정은 타이어 소모비가 높은 차량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명의 피트 스태프(6 Man Pit Stop Crews)
경주가 있는 주의 여행 경비가 $15,000로 절감될 것입니다. 또한 피트-스탑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이기 때문에, 피트-스탑이 느려질 것입니다.
높은 메리트의 보상금 (High Merit Payments)
최상위와 최하위 팀의 우승 상금에 많은 격차있게 됨니다. 상위 팀에게 더 많은 보상 비율이 주어짐니다
포인트 상위 6등까지 (Points for Top 6)
포인트는 상위 6등 까지의 드라이버에게 주어짐니다(10, 6, 4, 3, 2, 1). 중위권 팀들은 승점을 얻기 더 힘들어 질 것입니다.
시즌의 마지막 경기 더블 포인트제 (Double points for the final race of the season)
더블 포인트 수여는, 시즌의 마지막 경주를 좀 더 중요하게 만들 것입니다. 팀은 마지막 경주를 잡음으로서 도약시킬 수 있습니다.
가장 빠른 주행 기록에 보너스 포인트 부여 (Bonus points for the fastest lap)
가장 빠른 주행 기록을 세운 드라이버에게 2포인트를 부여합니다. 이 보상은 가장 속도가 빠른 차량에 주어집니다.
폴-포지션에게 드라이버에게 보너스 포인트 부여 (Bonus points for the driver in Pole Position)
예선에서 가장 빠른 기록은 세운 드라이버에게 2포인트를 부여합니다. 이것에
광폭(편평) 타이어 (Low profile Tyres)
이런 광폭타이어는 경이적인 모습이지만, 가장 빠른 타이어는 아닙니다. 그리고 이것은 두번째로 가장 싼 타이어 입니다(경기당 $15,000)
코르테즈 타이어 (Cortés Tyres)
코르테즈 타이어는 완전히 지구력이 좋습니다. 브루투스 타이어만큼 빠르지 않을 수도 있지만, 오래 쓸 수 있습니다.
사전에 타이어 종류 배부 (Pre-Distributed Tyre Compounds)
GMA에서 경주를 하기 전에 타이어 종류를 선택해 결정합니다. 즉, 모든 팀은 평온하게 경주 주간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두 종류의 건식 타이어 (Two Dry Weather Tyre Compounds)
팀이 선택 가능한 두 종류의 건식 타이어, 이것은 전략적 선택을 좀 더 단순하게 만듭니다.
12개의 건식 타이어 선택 (12 Dry Tyre Choices)
경주가 있는 주에, 팀은 타이어 마모도에 중점을 투어서 12개의 타이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가상 세이프티카만 사용 (Virtual Safety Car Only)
경주중에 물리적인 것을 대체해 가상 세이프티카를 사용합니다. 가상 테이프티카는 전자적으로 차량의 속도를 제한 하므로, 물리적 세이프티카 처럼 차량들이 붐비는 현상은 없습니다.
80Kg의 연료탱크와 재급유(Refueling 80Kg Fuel Tank)
경주 주행량에 80%정도 주행이 가능한 크기의 연료 탱크를 사용. 즉 경주 중 적어도 한번은 피트-스탑을 해야 합니다. 재급유가 없는 WMC에 비하면 이 규정은 경주(Race)당 $20,000의 비용이 들어갑니다.
드라이버 보조장치 허용 (Driver Adis Allowed)
드라이버의 기술적인 향상을 가져오도록 만들 수 있지만, 드라이버 스킬의 비중이 떨어지게 됨니다.
규격 엔진(Spec Engines)
엔진 파츠를 개발할 수 없게 됨니다. 모든 팀은 성능이 150수준인 표준 V8엔진을 사용하게 됨니다. 이것은 차량 개발의 비용을 상당수 낮춰주는 효과입니다.
예선 기반의 그리드 (Qualifying-Base Grids)
예선 세션이 드라이버의 출발 그리드를 결정짓게 됨니다. 그 뜻은 더 좋은 차일수록 선두 그리드에서 출발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리그 특징
Top6 포인트 제도
3부 리그인 ERS와 달리 상위 6등까지 에게만 포인트를 부여하기 때문에, (팀에 여유가 된다면 당연히 두 드라이버 모두 포인트 획득이 가능한 등수에 랭크시키면 좋지만) 팀내 드라이버 중 1명에게만 포인트를 몰아서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만 해도 중 하위권은 포인트를 획득하지 못 하기 때문에 큰 순위변동 없이 유지시킬 수 있고, 팀의 자금과 자원을 아낄 수 있습니다.
80Kg의 연료탱크와 재급유
그랑프리 중 날씨 변동이 없다면, 피트-인을 1회만 하면 되기 때문에, 경주 중 타이어 전략은 내구성이 좋은 타이어만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피트인을 덜하면서 얻게되는 시간이득이 상당히 크게 가져갈 수 있다.
유로피안 레이싱 시리즈 (European Racing Series)
리그 설명
Tier3 리그로 제일 하위 리그입니다. 1억2천5백만 달러 규모의 우승 기금을 가지며, 한 시즌이 총 10번의 GP경주를 통해서 승자를 가리게 됩니다.
빠르게 경주를 할 수 있는 길이(트랙 평균 약 27Lap), 좀 더 혼란스런 결과를 유발할수 있음
피트레인 이동속도 60Km/h 제한 (60KPH pitlane Speed Limit)
일반적인 속도의 피트스탑, 다시말해 평균적인 속도로 피트-스탑이 가능합니다. 이 규정은 타이어 소모비가 높은 차량에 도움이 됩니다.
6명의 피트 스태프(6 Man Pit Stop Crews)
경주가 있는 주의 여행 경비가 $15,000로 절감될 것입니다. 또한 피트-스탑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이기 때문에, 피트-스탑이 느려질 것입니다.
보통수준의 메리트 보상금 (Standard Merit Payments)
상위 팀부터 하위팀까지의 상금차이는 작을 것입니다. 1등 팀은 다른 팀에 비해 약간 더 높은 비율입니다.
모든 드라이버에게 포인트 부여 (Points for all drivers)
모든 드라이버에게 포인트를 부여하며(20,19,18,17, etc), 그 뜻은 경주에 참여한 모든 팀에게 점수를 부여합니다.
시즌의 마지막 경기 더블 포인트제 (Double points for the final race of the season)
더블 포인트 수여는, 시즌의 마지막 경주를 좀 더 중요하게 만들 것입니다. 팀은 마지막 경주를 잡음으로서 도약시킬 수 있습니다.
가장 빠른 주행 기록에 보너스 포인트 부여 (Bonus points for the fastest lap)
가장 빠른 주행 기록을 세운 드라이버에게 2포인트를 부여합니다. 이 보상은 가장 속도가 빠른 차량에 주어집니다.
폴-포지션에게 드라이버에게 보너스 포인트 부여 (Bonus points for the driver in Pole Position)
예선에서 가장 빠른 기록은 세운 드라이버에게 2포인트를 부여합니다. 이것에
로드 타이어 (Road Tyres)
흔히 길에서 보던 모습의 타이어와 가깝습니다. 이 타이어는 가장 빠르지 않지만, 가장 비용이 저렴합니다(경주당 $10,000).
브루투스 타이어 (Brutus Tyres)
성능에 집중된 타이어로, 트렉에서 살짝 더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코르테즈 타이어에 비해 지구력이 좋지 않습니다.
사전에 타이어 종류 배부 (Pre-Distributed Tyre Compounds)
GMA에서 경주를 하기 전에 타이어 종류를 선택해 결정합니다. 즉, 모든 팀은 평온하게 경주 주간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두 종류의 건식 타이어 (Two Dry Weather Tyre Compounds)
팀이 선택 가능한 두 종류의 건식 타이어, 이것은 전략적 선택을 좀 더 단순하게 만듭니다.
15개의 건식 타이어 선택 (15 Dry Tyre Choices)
팀은 경주가 있는 주당 타이어 마모율을 고려하지 않고, 15개의 타이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세이프티카만 사용 (Real Safety Car Only)
경주에서 실물의 세이프티카를 사용합니다. 세이프티카 뒤로 차량들이 몰리게 할 것이며, 선두를 무력화 시켜, 좀 더 혼돈이 유발 되도록 할 것입니다.
40Kg의 연료탱크와 재급유(Refueling 40Kg Fuel Tank)
경주 주행량에 40%정도 주행이 가능한 크기의 연료 탱크를 사용. 즉 경주 중 적어도 두번은 피트-스탑을 해야 합니다. 재급유가 없는 WMC에 비하면 이 규정은 경주(Race)당 $20,000의 비용이 들어갑니다.
드라이버 보조장치 금지 (Driver Adis Banned)
드라이버는 테크니컬 향상, 운전기술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규격 앞 날개(Spec Front Wing)
앞 날개 파츠를 개발할 수 없게 됩니다. 모든 팀은 성능이 150수준인 표준 앞날개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것은 차량 개발의 비용을 낮춰주는 효과입니다.
규격 뒷 날개(Spec Rear Wings)
엔진 파츠를 개발할 수 없게 됩니다. 모든 팀은 성능이 150수준인 표준 뒷 날개를 사용하게 됩니다. 이것은 차량 개발의 비용을 낮춰주는 효과입니다.
드라이버 챔피언쉽 포인트로 그리드 예약됨(Reversed Drivers Championship position Grids)
예선 세션이 없습니다. 그리드는 드라이버 챔피언쉽 포인트의 순위로 결정되며, 이론적으로는 팀들의 능력이 평준화되는 효과를 줍니다.
리그 특징
모든 드라이버에게 포인트 부여 (Points for all drivers)
포인트가 레이스에만 참가하면 부여되기 때문에, 팀내 2명의 드라이버 모두가 포인트 벌이를 잘 해야만이 팀포인트 우승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한 팀의 드라이버 2명 모두 그랑프리의 경주에서 모두 상위권에 랭크 시키도록 노력을 해야 합니다.
머신 (Machine)
– 차량은 크게 6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파츠별로 영향을 미치는 곳이 틀리니 참고하시기 바람니다.
부품명 (Parts Name)
주요 영향
부수 영향
엔진 (Engine)
최고속도 (Top Speed)
가속 (Accel)
변속기 (GearBox)
가속 (Accel)
코너링 이후 탈출구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코너링에 영향을 줍니다
브레이크 (Breake)
감속 (Deaccel)
코너링 이전 진입구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코너링에 영향을 줍니다
서스펜션 (Suspension)
중속 코너링 (Mid Speed-cornering)
앞 날개 (Front Wing)
저속 코너링 (Low Speed-cornering)
뒷 날개 (Rear Wing)
고속 코너링 (High Speed-cornering)
차량 디자인
– 차량 디자인에는 4개의 구성품 항목을 가지고 있습니다.
– 각 항목은 엔진, 연료, 소재, 브레이크로 나뉘어 있으며 각 항목은 제품 공급(업)체 제품 중 하나를 선정해야 합니다.
– 각 공급자에서 공급(업)체 제품중 자신의 팀 자산과 상황에 맞게 고르시면 됨니다.
– 여기 공급자 항목중 가장 중요한 것은 엔진 공급자입니다.
엔진 공급자에서 엔진은 다른 공급자와 달리 기본능력 보정치(Base Stat modifier)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현재 연도에 사용된 차량의 가장 높은 성능(Performence)의 파츠를 기준으로 얼마나 성능을 보정을 해서 내년 차량의 기본 능력치(성능)를 결정하는데 작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료 효율과, 개선도의 항목보다도 기본능력 보정치(Base Stat modifier)가 더 좋은 것을 골라서 사용하시기 바람니다.
그리고1부 리그인 WMC에 올라오게 되면 차량 디자인에 추가적인 내용이 생기게 됨니다.
바로, 차체 몸통(Rear Package)과 차체 코(Nose)를 조정할 수 있게 됨니다.
차체 몸통(Rear Package)는 타이어 소모량과 연료 효율간 능력(별)의 비율을 조정을 할 수 있으며
차체 코(Nose)는 타이어 온도관리와 개선도간의 능력(별)의 비율을 조정 할 수 있습니다.
드라이버(Driver)
드라이버 능력들 (Driver Stats)
능력명
설명
사기 (Morale)
사기는 성과 및 계약에 영향을 미칩니다. 드라이버가 행복한 수록 성과를 잘 내고 팀에 더 머물기를 원합니다.
코너링 (Cornering)
코너링 속도에 영향을 주며, 드라이버가 레이싱 라인을 맞추는 정확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브레이킹 (Braking)
드라이버가 코너에서 얼마나 늦게 브레이크를 걸지, 그리고 얼마나 쉽게 타이어를 멈추게 할지 결정합니다.
부드러움 (Smoothness)
타이어 마모에 영향을 미치며, 더 부드러운 능력을 가진 드라이버는 타이어를 더 좋은 상태로 유지할 것입니다.
일관성 (Consistency)
드라이버의 한 바퀴 시간기록 변동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 : 일관성이 낮은 드라이버는 좋은 기록을 낼 수는 있지만, 항상 좋은 기록만을 내지는 않습니다).
추월성 (Overtaking)
드라이버가 볼 수 있는 추월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고, 추월을 저지 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적응력 (Adaptability)
적응력이 더 좋은 드라이버라면 어느 차에 타더라도 집처럼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이 능력은 다양한 설정과 부품 변경이 있을 때 자동차에 대한 드라이버의 자신감에 영향을 줍니다.
집중력 (Focus)
드라이버의 사고방식과 실수 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피드백 (Feedback)
경주동안 드라이버의 피드백 수준이 얼마나 유용하고 정확 한지에 영향을 미칩니다.
건강 (Fitness)
경주중 드라이버의 성능이 어떻게 떨어질지 영향을 미칩니다. 건강이 낮은 드라이버는 경주 후반에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연령 (Age)
드라이버의 연령이며, 36~38세가 되면 드라이버는 은퇴합니다
신장 (Height)
드라이버의 신장 치수를 나타냅니다
특성들 (Traits)
드라이버에게 붙는 특성을 말합니다. 고정 특성과, (기간제한)변동 특성이 있고, 능력이 오르거나 떨어지는 특성으로 구성됩니다.
복종력 (Obedience)
복종은 드라이버가 경주에서 명령에 따르거나 무시할 가능성을 정의합니다. 드라이버와 계속해서 의견이 다를 경우 잘 따르지 않게 됩니다.
운전 스타일 (DrivingStyle)
드라이버는 자신의 운전 스타일에 가장 부합하는 자동차에서 가장 잘 능력을 보여 줄 것입니다.
기울임 글꼴은 보이지 않는 능력(Non-Visual)입니다.
경주 (Race)
연습 세션(Practice)
연습세션의 시간은 10분~15분까지 있으며 당해 리그의 규정에 의해 연습세션의 길이가 정해짐니다.
차량의 최적화 셋팅을 찾는 것이 1차적 목표로 가져가야 하고, 이것이 어느정도(97~100%) 최적화 셋팅을 찾은 이후는, 예선이나 본 경주에 사용할 스킬(또는 퍽)의 레벨을 올리는 것에 집중을 해야합니다.
차량의 셋팅 최적화는 그랑프리, 트랙 레이아웃, 날싸, 드라이버, 머신에 사용된 파츠의 성능 등의 따라 계속 변하기 때문에 1회 운행후 바로 피트-인을 시켜 피드백을 살펴보고 조정을 해야 합니다.
피드백의 등급은 Poor, Good, Great, Excellent 과 같이 있으며, 엑셀런트(Excellent)가 가장 좋은 등급입니다.
다음의 표는 피드백의 각 등급에 따라서 조정해야될 파츠와 수치를 나타내어 보았습니다.
피드백 등급
다운포스(DownForce)
핸들링(Handling)
속도균형(Speed Balance)
아주 구림(Very Poor)
앞,뒷 각각 같은 방향으로 3.0포인트 이동
서스펜션을 5칸 이동
기어박스를 5칸 이동
구림(Poor)
앞,뒷 각각 같은 방향으로 2.0포인트 이동
서스펜션을 4칸 이동
기어박스를 4칸 이동
보통(OK)
앞,뒷 각각 같은 방향으로 1.5포인트 이동
서스펜션을 3칸 이동
기어박스를 3칸 이동
좋음(Good)
앞,뒷 각각 같은 방향으로 1.0포인트 이동
서스펜션을 2칸이동
기어박스를 2칸 이동
훌륭함(Great)
앞,뒷 각각 같은 방향으로 0.3포인트 이동
타이어 각도 +/- 1번(=서스펜션 반칸 0.5이동과 같음) 또는 타이어 압력을 1단계 +/-조정(약 0.25정도로 추정됨)
타이어 각도 +/- 1번(=서스펜션 반칸 0.5이동과 같음) 또는 타이어 압력을 1단계 +/-조정(약 0.25정도로 추정됨)
예선 세션의 시간은 12분~20분까지 있으며 당해 리그의 규정에 의해 예선 세션의 길이가 정해짐니다.(3부 리그인 유로피안 시리즈의 첫 시즌의 경우는 규정에 없기 때문에 예선을 하지 않습니다.)
흔히 타임어택으로 알고 있는 경기이며, 이 Lap time에 따라서 본 경주의 그리드 포지션을 정하는 세션입니다. 따라서 연습세선에서 가장좋은 성능을 낸 최적화 셋팅을 선택하고, 가장 좋은 성능을 낼 수 있는 타이어(맑은 날에는 최대한 부드러운 타이어로, 비가 올때는 트랙에 찬 물의 양을 보고 인터미디에트나 Wet타이어를 골라주세요), 그리고 스킬(퍽)을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예선에는 본 타임어택 Lap을 돌기 전, 첫 바퀴인 in lap에서 차량을 주행 속도를 가지고 브레이크와 타이어 온도를 적정온도로 맞추어 줘야 합니다. 타이어와 브레이크 모두, 녹색으로 표시된 가운데 영역에 맞춰서 퍼팩트(Perfect)가 뜰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일부 미케닉의 스킬(퍽) 중에 Hot Spot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을 지정할 경우, 녹색으로 표시되는 영역이 넢어져서 좀 더 수월하게 맞출 수 있게 됨니다.
Tip! 한가지 팁을 드리면, 초반에는 속도를 높여서 브레이크와 타이어의 온도를 모두 최대로 높여 놓고있다가, 후반부에 적절히 온도를 낮추면서 브레이크와 타이어 온도를 적정선에 맞추도록 해보세요. 타이어 온도를 천천히 높여서 잡는 방식보다 좀 더 수월할 것입니다.
본 경주(Race)
시즌의 포인트를 얻으면서, 보너스 스폰서의 조건에 따라서 보너스 금액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경주입니다. 또한 각 드라이버의 포인트 획득량을 가지고 팀성적 평가를 하는데, 구단주와 협의한 목표를 달성 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서, 플레이어(감독이)가 구단주로부터 감독직을 짤릴지 계속 이어 나갈 수 있을지에 영향을 미치는 구단주 행복도(Happy)가 변동하니, 최소한 구단주와 협의한 팀 목표순위는 지키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본 경주의 경우, 날씨, 사고 이벤트, 파츠의 상태, 연료량, 피트-인전략 등등의 요인으로 인해 순위 변동이 많이 생길 수 있으니 상황에 따라 잘 대처해야 합니다.
본 경주 전략
본인이 플레이 하는 팀과 리그에 따라서 전략은 다르게 가져가야 합니다. 하지만 대체적인 공통사항을 기술해 보겠습니다.
기본사항 출발
– 첫 시작은 AI의 모든 차량 사용전략은 타이어 및 연료 모두 추월(Overtake)이고, 타이어 온도도 적정선보다 낮기 때문에 우리도 같이 타이어 및 연료는 모두 추월(Overtake)로 셋팅하자!
– 타이어 선택은 드라이버가 어디에 그리드 하느냐에 따라 적절히 골라주자. 선두권의 드라이버 차량의 타이어는 소프트 한쪽으로 가서 최대한 속도를 낼 수 있도록 하고, 중후위권에 그리드하게 된 드라이버의 차량은 하드한 쪽으로 가서 타이어 내구성으로 다른 팀이 첫 피트인을 할 때 여분의 타이어 내구도로 수월하게 추월 한 뒤 시간차를 벌이거나 피트인을 통해 보다 수월하게 순위를 올리자!
기본전략
선두를 노려라!
– 1등의 경우 앞을 가로막는 차량이 없기 때문에 연료사용 전략을 High이상으로 할 경우 뒷 차량과의 시간차 간격을 벌일 수 있다. 이렇게 벌어 놓은 시간간격은 피트-인을 들어갔나 나와도 순위변동이 없거나 1~2등수 떨어지는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하자!
피트-인 타임을 노려라!
– 일부 트랙(특히 벤쿠버)을 제외하고는 피트에 들어갔다 나올 때까지 딜레이(주유 및 파츠정비, 타이어 교체등)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피트레인 주행) 상태 팀이 피트인을 했을 때가 우리팀의 드라이버가 가장 쉽게 추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이러기 위해서는 전제조건이 있다. 타이어 소모량과 연료량 관리. 남들이 피트인 할 때 한바퀴 더 돌기 위해서는 당연히 타이어 마모도가 상대적으로 더 적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마모도가 적은 더 하드한 타이어를 선호해야 한다. 특히나 첫 시작 그리드가 후위권에 포진했을 경우는 상태팀에 비해 한단계 더 하드한쪽의 타이어를 사용하자!
날씨는 항상 잘 살피자!
– HQ의 기상예보 건물의 등급이 높을 수록 일기예보 정보를 멀리 볼 수 있지만, 그렇지 못 할 경우, 주기적으로 날씨를 체크하고, 비가올 경우 트랙의 물고임 상태를 보고 적정 타이밍에 타이어를 교체 해 줘야 한다. 올바른 타이어를 사용하지 못 할 경우 드라이버 Pace가 뚝뚝 떨어지게 되는것을 목격하게 될 것이다.
황기(Yellow Flag)상황
– 규정에 실물 세이프티 카인지, 가상 세이프티 카인지에 따라 전략이 틀려지겠지만, 실물 세이프티 카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 황기 상황이 발생하면 현재 차량이 바로 이전에 피트-인 한것이 아니라면 피트-인해서 타이어 및 연료를 재보급 하자!. 상황에 따라서 파츠의 신뢰도(또는 내구도)가 부족한 경우 수리를 통해서 올려 놓자!
스탭 (Staff)
스탭은 1명의 책임 디자이너와 2명의 경주 미케닉이 있습니다.
책임 디자이너 (lead designer)
– 신규 파츠를 개발 하는데 영향을 주며, 각 능력은 해당 파츠를 개발하는데 영향을 끼친다. 최대 20이 한계이며, 능력외에 알려진 부품(Known components)라는 특성을 가지는 부분이 있는데, 신규 파츠를 개발할때 부가적인 특성을 고를 수 있게 해 준다.
능력
설명
엔진 (Engine)
엔진을 개발하는데 영향을 주는 능력
브레이크 (Breakes)
브레이크을 개발하는데 영향을 주는 능력
변속기 (Gearbox)
변속기을 개발하는데 영향을 주는 능력
서스펜션 (Suspension)
서스펜션을 개발하는데 영향을 주는 능력
앞 날개 (Front Wing)
앞 날개을 개발하는데 영향을 주는 능력
뒷 날개 (Rear Wing)
뒷 날개을 개발하는데 영향을 주는 능력
경주 미케닉 (Race Mechanic)
경기중 피트-인(Pit-in)할때와 파츠의 성능향상 또는 내구도증진에 영향을 미친다.
능력
설명
집중력 (Concentration)
경주 중에 피트스탑 중에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을 결정합니다. 이 능력이 낮을수록 실수가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파츠 수리력 (Part fixes)
경주 중에 파츠수리시 걸리는 시간에 영향을 줍니다. 이 능력이 높을수록 파츠 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줄어들게 됩니다.
핏트-스톱 (Pit-Stops)
경주 중에 발생하는 핏트-스톱시 작업을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영향을 줍니다. 이 능력이 높을수록 피트-스톱 시간이 줄어 듭니다.
신뢰도 (Rellability)
얼마나 빨리 파츠의 신뢰도를 올리는데 영향을 줍니다. 이 능력이 높을수록 하루에 파츠의 신뢰도를 많이 올릴 수 있습니다.
친밀도 (Chemistry)
미케닉과 드라이버의 관계가 개선되는 속도에 영향을 줍니다. 이 능력이 높을수록 미케닉과 드라이버가 일심동체가 될 것입니다.
성능 (Performeance)
얼마나 빨리 파츠의 성능을 올리는데 영향을 줍니다. 이 능력이 높을수록 하루에 파츠성능을 많이 올릴 수 있습니다.
그랑프리(GP)
그랑프리는 총 16곳이 있으며, 각 그랑프리는 트랙의 레이아웃 종류가 여러가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총 나올 수 있는 트랙의 총류는 52가지가 있지만, 자신이 속한 리그의 규정에 따라 그랑프리가 가감 되기도 하며, 트랙의 레이아웃이 바뀌니 경기전에는 체크 하시기를 바랍니다.
트랙에 맞는 머신의 셋팅값은, 여러 요인(드라이버, 머신에 사용된 파츠의 성능, 특랙의 날씨 등)에 의해 계속 변합니다. 따라서 아래에 튜닝값은 초기 설정값으로 생각하시고 연습 세션에서 좀 더 세밀하게 조정을 해 주시면 됨니다.
트랙 설명에 나오는 주요 파츠의 경우 다른 파츠에 비해서 내구도가 많이 소모 될 수 있으니 경기 전 미리 내구도를 충분히 올리셔야 합니다.
벨기에-아르덴 (Ardennes)
– 피트를 들어오기 전부터 숲지역 진입까지 많은 직선구간이 있어서 속도 밸런스는 최고속도(Top Speed)로 치우쳐 설정을 해야하며, 핸들링은 숲 구간의 완만한 코너들이 있어 살짝 언더스티어로 맞추어야 한다. 다운포스 또한 살짝 높은(High) 방향으로 주자.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파츠)
결정적 영향
유용한 영향
최고속도(엔진), 저속 코너링(앞 날개)
가속력(기어박스)
머신 (설정)튜닝
Track A
ERS
ERS
ASC
ASC
WMC
WMC
FW(앞 날개)
RW(뒷 날개)
FW(앞 날개)
RW(뒷 날개)
FW(앞 날개)
RW(뒷 날개)
15.8
25.8
17.5
27.7
16.4
26.3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0.4
-3.6
21.0
-2.0
19.8
-2.8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94
75
31
50
94
75
중국-베이징 (Beijing)
– 베이징의 경우 트랙 구성을 5가지 레이아웃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하지만 대체로 피트레인 이전의 후반부와 코너를 돌고나서 쭈욱 이어지는 직선 주로가 항상 전체구간의 1/3이상은 포함되기 때문에 스피드 밸런스의 기어비를 높여 최고 속도(Top Speed)에 좀 치우치는 경향으로 설정을 하면 된다. 핸들링은 90도 이상되는 급격한 코너가 없기 때문에 살짝 언더스티어로 내려서 조정해 주면 된다. 다운포스 또한 직선주로에서 속도 이득을 얻기 위해 중간이나 살짝 다운포스를 주는 정도로 설정을 하면 된다.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파츠)
결정적 영향
유용한 영향
최고속도(엔진), 가속력(기어박스), 저속 코너링(앞 날개)
머신 (설정)튜닝
Track A
FW(앞 날개)
RW(뒷 날개)
15.8
25.8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0
-2.8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63
63
1
2
3
4
5
6
Track B
FW(앞 날개)
RW(뒷 날개)
16.5
26.5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6
-2.4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75
56
1
2
3
4
5
6
Track C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1
2
3
4
5
6
7
8
9
Track D
FW(앞 날개)
RW(뒷 날개)
16.5
26.5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6
-2.4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75
56
1
2
3
4
5
6
7
8
Track E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러시아-흑해 (Black Sea)
– 흑해는 트랙 구성을 6가지 레이아웃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파츠)
결정적 영향
유용한 영향
가속(기어박스), 고속 코너링(뒷 날개)
최고 속도(엔진)
머신 (설정)튜닝
Track A
FW(앞 날개)
RW(뒷 날개)
16.5
26.5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
-2.4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31
69
Track B
FW(앞 날개)
RW(뒷 날개)
16
26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6
-2.4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81
88
Track C
FW(앞 날개)
RW(뒷 날개)
18.2
28.2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0
-1.2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63
88
Track D
FW(앞 날개)
RW(뒷 날개)
18.2
28.2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0
-1.2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63
88
Track E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Track F
FW(앞 날개)
RW(뒷 날개)
15.2
25.2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3.4
-2.8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56
69
남아공-케이프 타운 (Cape Town)
– 케이프 타운은 2가지의 트랙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리소스 파일에서 확인되었지만, 싱글 레이스 게임에서는 TrackA만 선택 가능하다.(나중에 풀리려나?)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파츠)
결정적 영향
유용한 영향
가속(기어박스), 고속 코너링(뒷 날개)
최고 속도(엔진)
머신 (설정)튜닝
Track A
FW(앞 날개)
RW(뒷 날개)
20.0
25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0
-2.0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44
38
Track B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카타르-도하 (Doha)
– 도하는 4개의 트랙 레이아웃이 있지만 마지막 레이아웃은 싱글 레이스 게임에서 선택이 불가능 하다.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파츠)
머신 (설정)튜닝
Track A
FW(앞 날개)
RW(뒷 날개)
17.3
27.3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2.2
-2.8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44
63
Track B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1
2
3
3
4
5
6
7
8
9
Track C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1
2
3
3
4
5
6
7
8
9
Track D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아랍에미리트-두바이(Dubai)
– 두바이는 총 4가지의 트랙 레이아웃이 있다.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파츠)
머신 (설정)튜닝
Track A
FW(앞 날개)
RW(뒷 날개)
15.7
25.7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6
-1.6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56
69
Track B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1
2
3
4
5
6
7
8
9
Track C
FW(앞 날개)
RW(뒷 날개)
15.2
25.2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3.4
-1.6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56
63
Track D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영국-길포드 (Guildford)
– 길포드는 2가지의 트랙 레이아웃이 있다.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파츠)
결정적 영향
유용한 영향
최고 속도(엔진),중속 코너링(서스펜션), 고속 코너링(뒷 날개)
머신 (설정)튜닝
Track A
FW(앞 날개)
RW(뒷 날개)
16
26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18.0
-1.2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63
75
Track B
FW(앞 날개)
RW(뒷 날개)
14.8
24.8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19.2
-0.8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69
75
포루투칼-톤델라 (Tondela)
– 톤델라는 4가지의 트랙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는 그랑프리입니다.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파츠)
머신 (설정)튜닝
Track A
FW(앞 날개)
RW(뒷 날개)
17.5
27.5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2.8
-2.8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50
63
Track B
FW(앞 날개)
RW(뒷 날개)
17.5
27.5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0
-2.8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38
63
Track C
FW(앞 날개)
RW(뒷 날개)
18
28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0
-2.8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38
63
Track D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이탈리아-밀란 (Milan)
– 밀란은 3가지의 트랙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는 그랑프리입니다.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파츠)
결정적 영향
유용한 영향
최고 속도(엔진),감속력(브레이크), 고속 코너링(뒷 날개)
머신 (설정)튜닝
Track A
FW(앞 날개)
RW(뒷 날개)
16
26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18.6
-2.4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63
69
Track B
FW(앞 날개)
RW(뒷 날개)
16.2
26.2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19.2
-3.2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69
69
Track C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독일-뮌헨 (Munich)
– 뮌헨은 4가지 트랙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파츠)
결정적 영향
유용한 영향
최고 속도(엔진),감속력(브레이크), 고속 코너링(뒷 날개)
머신 (설정)튜닝
Track A
FW(앞 날개)
RW(뒷 날개)
17
27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0
-2.0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38
50
Track B
FW(앞 날개)
RW(뒷 날개)
17.2
27.2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18.0
-3.6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56
69
Track C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Track D
FW(앞 날개)
RW(뒷 날개)
17.7
27.7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6
-2.8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50
69
미국-피닉스 (Phoenix)
– 피닉스는 5가지 트랙 레이아웃이 있는 그랑프리입니다.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파츠)
머신 (설정)튜닝
Track A
FW(앞 날개)
RW(뒷 날개)
14.7
24.7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6
-1.2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69
88
Track B
FW(앞 날개)
RW(뒷 날개)
15.8
25.8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0.4
-1.6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69
88
Track C
FW(앞 날개)
RW(뒷 날개)
15.5
25.5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0
-2.4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75
88
Track D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Track E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브라질-리우데자이네루(Rio de Janeiro)
– 리우 데 자이네루는 3가지 트랙 레이아웃이 있는 그랑프리입니다.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파츠)
결정적 영향
유용한 영향
머신 (설정)튜닝
Track A
FW(앞 날개)
RW(뒷 날개)
16.0
26.0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2.2
-2.0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63
94
Track B
FW(앞 날개)
RW(뒷 날개)
15.0
25.0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0.4
-2.0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69
88
Track C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싱가폴-싱가폴 (Singapore)
– 싱가폴은 리소스 파일상에는 2가지가 있으나 게임에서는 1가지 트랙 레이아웃만 있다.
주요 영향을 주는 요인 및 (파츠)
머신 (설정)튜닝
Track A
FW(앞 날개)
RW(뒷 날개)
18
26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21.0
-2.8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38
44
Track B
FW(앞 날개)
RW(뒷 날개)
TP(타이어 공압)
TC(타이어 기울기)
GB(기어 박스)
SS(서스펜션 경도)
오스트레일리아-시드니 (Sydney)
– 시드니는 아르덴과 함께 트랙 레이아웃이 변화가 없는 단일 구성으로 되어있는 그랑프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