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제자리비행만 제대로 할 줄 알아도 다른 모든 기동을 할 수 있어요.이륙, 착륙, 선회 등등등 결국에는 제자리비행을 할 줄 알아야 해요.제자리비행을 위해 알아둘만한 몇가지를 소개합니다.
들어가기 전에…
이 가이드는 전문가 모드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일부 베테랑, 훈련병 모드에서는 이보다 더 쉽게 제자리 비행이 가능할 수도 있어요.
왜냐면 몇가지 실제 항공기에서 나타나는 운동을 무시해주거나,
컴퓨터가 그 일을 대신해주는 등 난이도를 줄였기 때문이죠.
전문가(Expert)모드를 선택하시고 이 가이드를 따라해 보세요.
실제 항공기의 움직임을 느끼기 좋답니다 ^^
그래도 이 게임의 장벽이 낮지는 않은지라,
난이도 낮춰서 하실 분은 낮춰서 하셔도 상관은 없어요.
어차피 게임은 재밌으려고 하는거고 재미란건 개인의 취향이니깐요.
그럼에도 이렇게 사족을 붙이는 이유는 훈련병 난이도 선택하고서,
가이드가 이상하다고 하실까봐 하는 노파심에 적어둡니다.
회전익항공기의 기본 운동
제자리 비행에 앞서 먼저 헬리콥터에서 운동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봅니다.
헬리콥터에서는 고정익 항공기와 다르게 4개의 운동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플심에서는 고정익 항공기 조종이 자전거 타기라면,
헬리콥터의 조종은 외발자전거 타기이다. 라는 표현이 있죠.
고정익과 비교했을 때,
고정익의 경우에는 요잉, 롤링, 피칭 이렇게 3가지 운동이 가능합니다.
헬리콥터는 여기에 상승/하강이 추가되었죠.
각각이 무엇인지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요잉(Yawing)은 항공기의 방향을 조절합니다.
페달로 조정이 가능하고, 저처럼 저가의 조이스틱에서는
스틱을 좌우로 비틀면 요잉으로 먹힙니다.
다음으로, 롤링(Rolling)은 전방에서 봤을 때 항공기가 좌 또는 우로 기우는 운동입니다.
스틱을 좌 우로 기울이면 발생하는 운동입니다.
그리고 피칭(Pitching)은 옆에서 봤을 때 항공기가 앞 또는 뒤로 기우는 운동입니다.
고정익에서는 피칭을 통해 상승 또는 하강이 일어나죠.
스틱을 앞, 뒤로 기울이면 발생합니다.
각각 빨간선의 맨 왼쪽, 오른쪽 위, 오른쪽 아래에 해당하는 운동입니다.
마지막으로 상승/하강은 그림에서 파란 화살표로 표시해 두었습니다.
고정익에서는 엔진출력증가 후 기수를 상승(윗쪽으로 피칭, 스틱을 당김)하게 되면
고도가 상승합니다.
그렇지만 회전익에서는 후진을 하게 되죠.
제자리에서 회전익 항공기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컬렉티브(Collective)라는 조종 장치를 이용해야 합니다.
고정익에서는 쓰로틀(Throttle)을 높이거나 줄일 수 있지만,
회전익항공기는 엔진회전수는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기 때문에 쓰로틀조절이 필요없습니다.
따라서 조이스틱의 쓰로틀 조절부가 컬렉티브의 상승/하강을 조절합니다.
이 컬렉티브를 통한 상승/하강 때문에 고정익보다 한차원 높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제자리 비행시 작용하는 힘들
기본 운동이 어떤 것인지 감이 잘 안오신다면,
Free Flight를 통해 스틱을 전후, 좌우로 움직여 보세요.
또한 스틱을 좌/우로 비틀어 요잉이 어떤 운동인지 확인해보세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자리에서 쓰로틀레버를 올리거나 낮춰
컬렉티브가 어떻게 작용하는 확인해보세요.
어떤 움직임이 가능한지 알겠다면,
이제 항공기를 제자리에 띄울 기본지식은 갖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배워야 할 기본지식이 아직 더 남아있어요.
회전익항공기의 가능한 기본운동은 앞선 섹션에서 배웠고,
이번 섹션에서는 제자리비행중인 항공기는 어떤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이걸 미리 알고 있다면, 제자리 비행할 때 그 반대의 힘으로 조종간을 움직이겠죠?
그럼 이제 알아봅시다.
먼저, 단일회전식 항공기에서 발생하는 토크(Torque)현상이 있습니다.
위에 그림에서 빨간 화살표가 나타내는 것은 주 회전날개의 회전방향입니다.
주 회전날개가 빠른속도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항공기가 공중에 뜨는 순간 동체는 파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할 것입니다.
(뉴턴 3법칙 작용과 반작용에 의함)
항공기 동체가 파란색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토크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를 막기위해 페달을 차주는 것을 반 토크(Anti-Torque)라고 하는데,
이 반토크는 항공기에 어떻게 힘을 작용시킬지 알아봅시다.
항공기의 동체가가 파란색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조종사는 왼쪽페달을 차주어야 합니다.(기수를 좌측으로 돌리도록)
어느정도 차느냐면 기수를 유지할 정도만 차야합니다.
(그이상인경우 빨간화살표 방향으로 기수가 더 틀어짐)
페달을 차면 초록색 화살표 방향으로 추력이 발생하고, 기수가 똑바르게 됩니다.
하지만 이번엔 그 영향으로 기수는 똑바르지만 동체가 보라색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를 막기위해서는 좌측으로 롤링을 주어야 합니다.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좌측 롤링은 좌측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만들겠지만,
보라색 힘에 의해 가만히 있게 됩니다.
제자리비행(Hovering) 방법
자 이제 끝났습니다.
지상에 대기중인 헬리콥터의 시동을 켭시다!
제자리 비행을 위해서는 4개의 조종간을 모두 움직여야 합니다.
4개의 조종간을 움직여 균형을 잡으면 우리의 항공기는 공중에서 기가막히게 멈춰있을 것입니다.
Ready to flight! 표시가 뜰 때, 이젠 제자리 비행을 연습해 봅시다.
바로 앞 섹션에서는 컬렉티브를 사용하지 않았는데, 이제 컬렉티브를 사용할 때입니다.
시동이 완료되면, 컬렉티브를 서서히 증가시켜 보세요.
(쓰로틀 스틱을 상승시킴)
Torque 계기가 움직이기 시작할 것입니다.
회전익 항공기는 N2/NR RPM이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이 계기로 엔진에 부하가 얼마만큼 걸렸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 토그 계기가 50부근을 넘기게 된다면, 항공기가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이 계기를 유심히 보다가 아 이정도면 뜨겠구나를 알고 계세요!
어느정도 토크를 주어 항공기가 상승하면 일정 고도(3ft 정도) 에서 유지되도록
컬렉티브스틱의 상승을 멈춰주세요.
컬렉티브스틱이야 상승할때까지 들어올리고, 고도를 유지하도록 조절한다.
이처럼 간단합니다.
이젠 나머지 3개의 조종간을 신경써야합니다.
앞서 배운 내용들이죠?
토크가 50부근이 되고 항공기가 뜨려고 하면,
항공기가 지면에서 떨어지자 마자 좌측페달을 차주어야
(좌로 요잉을 주어야; 스틱을 왼쪽으로 비틈) 합니다.
딱 중앙을 볼 수 있을 만큼만 차주세요.
너무 많이 차게되면 빨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고,
너무 적게차면 파란 화살표 방향으로 기체가 회전할것입니다.
그리고 동시에 스틱을 왼쪽으로 기울여 보라색 방향으로 흘러가지 못하게 막습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보라색방향으로 흐르지만 않게 기울여야 합니다.
너무 많이기울이면 초록색 방향으로 흐를 것이고,
너무 조금 기울이면 보라색 방향으로 흐를 것입니다.
이런 힘들 말고도 바람, 주 회전날개의 장착 각도 등에 따라
항공기가 앞 또는 뒤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는 스틱을 앞 또는 뒤로 당김으로 조절해주어야 합니다.
자 이제 다 됬습니다.
토크 50부근에서 페달 왼쪽으로찰 준비해주시고
토크를 좀더 높여서(컬렉티브 상승) 항공기가 뜨자마자,
페달을 왼쪽으로 차고(왼쪽으로 비틂), 스틱을 왼쪽으로 기울입니다.
앞, 뒤로 움직이는 것은 스틱을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막아주시고,
컬렉티브 스틱으로 항공기가 상승 또는 하강하지 않고 가만히 있도록 만들어 주세요.
제자리 비행시에는, 먼곳을 보는게 어지럽지 않고 좋습니다.
튜토리얼같은 경우에는 바람이 너무 심해 연습하기가 힘들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에디터로 맵을 만들어서 바람을 없애고 연습을 해보세요.
처음 연습할 때에는 스틱을 팍팍 움직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면 진자운동이 되서 더욱더 불안정해 집니다.
스틱을 정말 조금씩 미세하게 움직이는 연습을 해보세요.
그리고, 스틱을 움직였다고 해서 바로 움직임이 나타나는게 아닙니다.
조금의 지연이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예를들어 보라색 방향으로 항공기가 흐른다!
그럼 바로 초록방향으로 스틱을 확 기우는게 아니고, 서서히 기울이다가
동체가 왼쪽으로 기우는게 느껴진다 싶으면 다시 기울이기 전의 스틱 위치로 원복시키세요.
그럼 항공기가 초록 방향으로 움직이다가 다시 보라색방향으로 움직이려 할겁니다.
그럼 이제 그 시간을 조금씩 단축하는 거죠.
왼쪽 살짝 더 꺾었다가 다시 원복 이런식으로요.
초록방향으로 보라색 힘만큼 주겠다고 확 꺾으면,
초록방향으로 한참 날아가있는 항공기를 발견하게 될거에요.
살짝만 움직여도 항공기 움직임은 크게 변한다는걸 잊지 마시고 열심히 연습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