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view
한국인을 위한 가이드북(Guidebook for Korean)1장 생존-기초(Surviving)2장 생존-심화(Surviving+)3장 소통(Communication)4장 농사(Farming)5장 제련(Smithing)6장 제빵(Bakery)필자도 배우면서 수정하는 가이드북입니다. 댓글로 많은 도움 바랍니다.비평은 환영, 비난은 거절합니다.혹시 한국어로 된 다른 가이드북이 있다면 알려주시겠어요?제가 찾았습니다 다른분이 쓰신 공략.[터잡기 & 농사]https://m.blog.naver.com/jewello_ov/221224652783[불 피우기 & 가마 만들기]https://m.blog.naver.com/jewello_ov/221225898829[사냥 & 재봉: 토끼]https://m.blog.naver.com/jewello_ov/221230362871이 가이드는 현재 작성자 사정상 작성이 중지된 상태입니다.이미지 출처(Image URL)[appdata.hungryapp.co.kr]
서문(Introduction)
이 가이드북(Guidebook)은 OneHourOneLife(이하 OHOL)를 즐기는 한국어 사용자(Korean User)를 위해 제작되었습니다. 또한 개인적인 기록또한 주목적 중 하나이니 참고바랍니다.
My Eng is so bad. Plz feed back.
혹시나 이 가이드북을 방문할 한국어 사용 외국인을 배려하여+정확한 아이템 지칭을 위하여 한국어와 영어를 병기합니다.
아이템 명칭 외 영어의 문법적인 부분은 제가 많이 부족하니, 많은 지적 바랍니다.
가이드북의 목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 서문
- 1장 생존-기초(Surviving)
- 2장 생존-심화(Surviving+)
- 3장 농사
- 4장 제빵
- 5장 제련
위 목차의 순서나 명칭은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의견을 우선적으로 반영하여 결정합니다.
2019년 01월 09일 기준 필자는 총 42시간의 플레이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제빵과 제련은 어깨너머로 배운 것이 전부이므로 취소선 처리 되었습니다.
나중에 추가할 내용이 있으면 추가하겠습니다.
1장 생존-기초(Surviving)
당신이 게임을 시작했다면, 아마 튜토리얼(Tutorial)을 먼저 해야 할 겁니다.
아, 이 가이드북을 읽기 전에 하나 알려드릴게요.
까맣게 된 부분에 마우스를 올리면 가려진 글자가 보입니다.
이 가이드북의 경우, 굳이 넣지 않아도 될 말을 넣고 가린 것이니, 궁금하면 보시고 그게 아니라면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가장 먼저 알려주는 게 바로 움직이는 법이죠. 마우스 클릭으로 움직여 보세요.
아, 튜토리얼이 말하길 지금의 상태는 아이를 낳을 수 있는 이브(Eve)이지만 튜토리얼이기 때문에 아이를 낳진 못한다고 하네요. 걱정말고 진행하세요.
움직이는 건 자동입니다(Navigation is automatic.). 그러니까 이동하려는 장소까지 최단거리로 이동할 때 캐릭터 스스로 길을 찾아서 간다는 뜻입니다.
[구스베리 덤불(gooseberry bush)-까치밥나무?]
문을 클릭해서 열고 베리덤불(Gooseberry bush)을 클릭해서 갑시다. 바닥에 점선이 생기죠?(- – – – 이렇게 생긴 거요.) 그게 바로 자동 이동 경로입니다.
구스베리 덤불을 마우스로 클릭(Click)해보세요.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상관없어요. 그리고 자신의 캐릭터를 클릭하세요.
아, 혹시나 나중에 가방을 갖게 된다면, 가방을 멘 상태에서는 캐릭터의 얼굴을 클릭하는 게 좋습니다. 음식을 먹으려는데 가방에 넣고 빼는 행동만 반복하다가 굶어죽지 않으려면 말이죠.
참고로 물건을 집고(pick) 내려놓는(put down) 건 캐릭터 기준으로 전후좌우 1칸까지 가능합니다. 이건 참고로 알아두세요. (내려놓는 건 우클릭-RightClick-입니다)
이제 적어도, 주위에 바로 먹을 수 있는 게 있다면 굶어죽진 않겠군요.모기한테 물리기 전까진 말이죠.
자, 계속 이동해봅시다.
솔직히 이걸 굳이 가이드북에 적어야 하나 싶긴 한데, 일단 계속 해보죠.
마우스를 클릭한 채로 끌면(Click and Drag) 계속 자동으로 이동합니다. 마우스 누르던 걸 놓거나, 마우스가 캐릭터 위치에 오기 전까지 말이죠. 나무가 많은 지형에서 이동할 때 유용합니다. 다만, 자동 이동(auto navigator)이 나무 뒤에 숨은 모기나 늑대, 멧돼지까지 피해주진 못해요. 나뭇잎으로 가려진 지형을 지나갈 땐 조심합시다.
베리 덤불을 하나 더 지나면 바닥에 꼿꼿한 나뭇가지(Straight Branch)가 하나 떨어져 있습니다.
이걸 들고 조금 더 가면 있는 ‘큰 바위(Big hard rock)’에 클릭해보라지만, 당연히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튜토리얼 설명으로는 꼿꼿한 나뭇가지와 큰 바위는 크래프팅 리스트에(Crafting list)에 상호작용하는 조합법이 없어서 조합이 안된다고 하는군요.
나뭇가지를 들고 계속 갑시다. 체온이 낮으니 배고픔이 빨리 떨어지네요. 베리(Berry) 먹는 것도 잊지 맙시다.
물건을 내려놓는 건 우클릭(R-click)이라고 위에서 이야기 했죠? 나뭇가지를 내려놓고 베리를 먹읍시다.
(이 가이드를 읽으면서 진행한다면 굶어죽기 딱 좋겠네요.
꼿꼿한 나뭇가지(Straight Branch)를 손에 든 채로 큰 바위와 베리 덤불을 지나면 돌(stone)과 큰 바위(big hard rock)가 나옵니다.
돌을 들고 큰 바위에 클릭해봅시다.
[간돌(sharp stone)]
그러면 간돌(sharp stone)이 나옵니다.
간돌은 조합법에서 참 많은 용도로 쓰입니다. 화면 우측 하단을 보시면 조합법이 ‘영어’로 나옵니다. 그것도 그림 설명없이 말이죠. 우리가 이걸 쓸 날은 한글패치가 되거나 영어가 제2모국어가 되는 날일 겁니다.
조합법 페이지는
Tab 버튼을 눌러 다음 조합법으로 넘어가고,
ctrl과 Tab을 같이 눌러 5페이지를 건너뛸 수 있고,
Z와 Tab을 같이 눌러 이전 조합법으로 갈 수 있습니다.
중요한가요? 아뇨, 중요하지 않아요. 넘어갑시다.
다시 돌아와서, 간돌(sharp stone), 이건 가장 기초적인 도구죠.
당장에도 옆에 내려놓은 꼿꼿한 나뭇가지에 클릭을 하면, 직선 샤프트(long straight shaft)가 나옵니다. 이 샤프트로 물개를 치면 끡!하고 죽죠.
이제 이 간돌을 들고 더 걸어갑시다. 직선 샤프트 만든 걸 몇 번 더 내려쳐 봐도 되지만 그건 나중에 해도 되니까 일단 가자구요.
간돌(sharp stone)을 들고 좀더 걸어가면 베리 덤불을 지나서 처음 보는 식물이 나올 겁니다.
생존의 기초는 굶지 않는 것(Don’t starve)입니다.
2장 생존-심화(Surviving+)
3장 제련(Smithing)
정말 오랜만의 업데이트입니다(사실상 처음 작성하고 첫 업데이트네요.)
제빵(baking)보다 제련(smithing)을 먼저 배워야겠다 싶어서 순서를 바꿨습니다.
배우고 난 뒤에 작성하겠습니다.